-
겨울철 차량관리에 도움 되는 상식들자동차 관리 2020. 12. 21. 16:03728x90
올해는 유난히 겨울이 일찍 찾아온 소식 때문에 하루가 멀다 하고 기온이 낮아져 자동차를 소유하고 있는 분들은 더더욱 차량관리에 힘쓰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기계는 추위에 약한 편이기 때문에 자동차도 마찬가지로 기온이 영상 5도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따뜻했던 날씨와는 달리 기존에는 나타나지 않았던 증상들이 발생하게 됩니다.
신차뿐만 아니라 이미 출고되고 운행된 중고 차인 경우에는 온도가 매우 낮은, 겨울에 특별히 더 많은 관심이 필요하기 때문에 오늘 이 시간에는 겨울철 차량관리에 도움 되는 상식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날이 추워질수록 엔진 소리가 더 큰 이유는?
기온이 점차 내려가기 시작할 때에는 낮아진 엔진 온도를 정상수치까지 올리고 자동차의 시동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아이들링(공회전) 시 엔진 회전수를 1,300-1,600 RPM까지 상승시키게 되며, 그 결과 엔진 및 배기 소음이 따뜻한 계절보다 더욱 커지게 됩니다.
겨울철에 시동을 걸고 난 이후, 약 3분에서 5분 안에 차량 엔진 소음이 감소하고 냉각수 온도가 적정 수준 섭씨 75-85도씨로 올라가는 것이 정상이라고 볼 수 있으며, 만약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엔진 또는 냉각계통에 이상이 있을 수도 있으니 점검을 받아 보는 것이 좋습니다.
운동 전 준비운동=자동차 예열
늦가을이나 겨울처럼 밤이나 이른 새벽처럼 기온이 영하로 내려갈 경우에는 자동차의 엔진부터 자동차의 모든 부분이 대부분 얼어있는 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때 자동차의 시동을 걸고 난 직후 바로 차를 운행하는 것은 차량 수명을 깎아 먹는 행동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특히 요즘처럼 엔진 다운사이징+터보 조합이 많아지고 있는 지금, 충분한 예열 없이 주행하게 되면 엔진 블록, 터보차저, 트랜스미션, 각종 부싱 및 마운트에 무리를 주게 됩니다. 이러한 행동을 장기적으로 진행할수록 해당 부분에 대한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하기 시작하면서 노후화에 따른 교체 및 수리 주기가 더욱 빨리 찾아올 수 있습니다.
자동차 운행 전 예열은 사람이 운동 전 근육, 인대, 관절, 혈액 공급 원활 및 상해 예방을 위한 준비운동과 같다고 볼 수 있습니다.
고생스럽지만 겨울에도 세차를 꼭 해줘야 하는 이유
대기 중 미세먼지나 각종 오염물질이 포함된 비나 눈을 맞고 난 이후 차량 위에는 수북이 먼지가 쌓이게 됩니다. 그리고 도로 위에 쌓인 눈이나 빙판길을 녹이기 위한 염화칼슘으로 인해 도로도 손상되지만 남아있는 염화칼슘으로 인해 차량 외관, 하부, 심지어는 동력 계통 및 각종 부품에까지 침투해 부식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최근에는 저 부식 염화칼슘을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기도 하고 근래에 출시한 차량들은 과거에 비해 방청 작업이 잘 되어있어 부식이나 염화칼슘으로 인한 문제 발생률도 낮은 편이긴 합니다.
방전되기 쉬운 겨울철 자동차 배터리
날씨가 추워지면 발생하는 가장 대표적인 자동차 이상 증상은 아무래도 배터리 방전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물론 계절에 상관없이 개인의 운전습관이나 차량관리 부족 또는 차량의 전등을 켜놓고 방치해 두는 실수에도 발생할 수 있는 굉장히 일상적인 사고라고 볼 수 있지만, 겨울철에는 낮은 기온으로 인해 방전이 잘 되는 만큼 더더욱 자동차 배터리의 상태를 잘 확인해 주어야 합니다.
배터리 상태를 점검하는 방법은 배터리 상부에 있는 투명창에 보이는 색상(초록색이 정상, 검은색은 충전 필요, 회색은 교체 필요)에 따라 수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 배터리 교체 시기는 4년에서 5년 정도이지만, 만약 평상시 큰 문제가 없어도 차량 방전이 계속된다면 수명이 다했다는 의미로 볼 수 있어 교체가 필요합니다.
겨울철 차량관리 방법으로 차량관리 하고 안전운전하세요!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출처] 겨울철 차량관리에 도움 되는 상식들|작성자 픽플러스
728x90'자동차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철 디젤자동차 차량관리 방법 (0) 2020.12.22 자동차 경고등 18가지 한번에 요약정리 (0) 2020.12.22 겨울이니까 더 알아야 하는 차체자세제어장치(ESP) (0) 2020.12.21 자동차 RPM, 불안정한 원인과 해결방법 (0) 2020.12.20 겨울 자동차 히터, 제대로 사용하는 방법! (0) 2020.12.20